정부 지원사업 선정사를 위한 개발 외주 가이드: 성공적인 과제 수행을 위한 핵심 전략
초창패, 예창패, TIPS, 정부 R&D 등 정부 지원사업 선정 후 개발 외주를 성공적으로 진행하는 완전 가이드. 실제 사례와 체크리스트 포함.
서론: 정부 지원사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정부 지원사업에 선정되었는데, 이제 어떻게 개발을 진행해야 할까?"
초창패, 예창패, TIPS, 중소벤처기업부 R&D 등 정부 지원사업에 선정되신 것을 축하드립니다. 하지만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입니다.
정부 지원사업 수행 시 개발 관련 주요 고민:
- 엄격한 예산 집행 규정 준수
- 상세한 개발 문서화 의무
- 중간/최종 평가를 위한 성과 입증
- 지적재산권 관리 및 기술보호
- 사업화 연계를 위한 실용적 개발
정부 과제 실패 원인 분석:
- 예산 집행 오류: 28%
- 일정 지연: 35%
- 성과물 미흡: 22%
- 문서화 부실: 15%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은 정부 과제 특성을 이해하는 전문 개발 파트너 선택입니다.
정부 지원사업별 개발 특성 분석
초기창업패키지 (초창패)
사업 특성:
├── 지원 규모: 1억원 (최대 2년)
├── 지원 비율: 100% (정부지원)
├── 주요 목표: 창업 아이템 사업화
└── 평가 기준: 사업화 성과, 일자리 창출
개발 요구사항:
├── 빠른 MVP 개발 (6개월 내)
├── 시장 검증 가능한 프로토타입
├── 사업화를 위한 확장 가능한 구조
├── 비즈니스 모델 검증을 위한 핵심 기능
└── 투자 유치용 데모 버전
개발 예산 활용:
├── 인건비: 60% (개발자, 기획자)
├── 외주개발비: 30% (전문 기능)
├── 장비/도구: 10% (개발 환경)
└── 주의: 100% 정부지원이므로 투명한 집행 필수
성과 지표:
├── 기술적 성과: 특허출원, 논문, SW등록
├── 사업적 성과: 매출, 투자유치, 고용창출
└── 사회적 성과: 일자리, 기술이전
예비창업패키지 (예창패)
사업 특성:
├── 지원 규모: 5,000만원 (1년)
├── 지원 비율: 100% (정부지원)
├── 주요 목표: 창업 준비 및 아이템 고도화
└── 후속 연계: 초창패, TIPS 연계 가능
개발 요구사항:
├── 기술 검증 및 PoC 개발
├── 사업모델 검증용 프로토타입
├── 지적재산권 확보 (특허/SW등록)
├── 기술사업화 타당성 분석
└── 투자 유치 준비를 위한 데모
개발 접근 전략:
├── 1-3개월: 기술 검증 및 시장 조사
├── 4-6개월: 프로토타입 개발
├── 7-9개월: 시장 검증 및 개선
├── 10-12개월: 사업화 준비
└── 중요: 후속 사업 연계를 고려한 설계
예산 집행 포인트:
├── 개발비 비중 높음 (70-80%)
├── 인건비 보다 외주 활용 선호
├── 명확한 산출물 정의 필요
└── 지적재산권 비용 별도 계상
TIPS (Tech Incubator Program for Startup)
사업 특성:
├── 지원 규모: 5억원 (최대 3년)
├── 지원 비율: 정부 70% + 민간 30%
├── 주요 목표: 기술 창업 및 글로벌 진출
└── 특징: 민간 투자 연계 필수
개발 요구사항:
├── 고도한 기술력 기반 제품/서비스
├── 글로벌 시장 진출 가능한 품질
├── 확장성과 안정성을 고려한 아키텍처
├── 국제 표준 및 인증 대응
└── 대규모 사용자 수용 가능한 시스템
개발 전략:
├── Year 1: 핵심 기술 개발 및 검증
├── Year 2: 상용화 제품 개발
├── Year 3: 글로벌 진출 및 확장
└── 민간 투자사 요구사항 반영 필수
기술 요구 수준:
├── 특허 기반 차별화 기술
├── 국제 경쟁력 있는 성능
├── 보안 및 품질 국제 인증
└── 대규모 트래픽 처리 능력
중소벤처기업부 R&D
사업 특성:
├── 지원 규모: 3-10억원 (1-3년)
├── 지원 비율: 75-85%
├── 주요 목표: 기술 혁신 및 상용화
└── 평가: 기술적 성과 + 사업화 성과
개발 요구사항:
├── 혁신적 기술 개발
├── 기존 기술 대비 우수성 입증
├── 상용화 가능한 수준의 완성도
├── 체계적인 기술 문서화
└── 후속 R&D 연계 가능성
성과 관리:
├── 정량적 성과: TRL, 특허, 논문, 매출
├── 정성적 성과: 기술적 우수성, 파급효과
├── 중간평가: 50% 지점에서 진도 점검
└── 최종평가: 목표 달성도 종합 평가
정부 과제 수행을 위한 개발사 선정 기준
1. 정부 과제 대응 역량
## 필수 확인 사항
### 정부 사업 수행 경험
- [ ] 초창패/예창패 등 창업 지원사업 수행 실적
- [ ] 정부 R&D 과제 선정 및 수행 경험
- [ ] 다양한 정부 지원사업 평가 기준 실무 숙지
- [ ] 성공적인 과제 완료 및 성과 달성 이력
### 문서화 역량
- [ ] 정부 요구 형식의 기술문서 작성 능력
- [ ] 특허명세서 및 기술이전 문서 작성
- [ ] 체계적인 개발 과정 문서화 역량
- [ ] 성과 관리 및 추적 시스템 구축 능력
### 규정 준수 능력
- [ ]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및 관련 규정 학습 의지
- [ ] 연구개발비 집행 규정 준수 체계 구축
- [ ] 보안 관리 및 기밀 유지 시스템
- [ ] 지적재산권 관리 프로세스 수립
2. 기술 역량과 전문성
// 정부 과제별 요구 기술 수준
const govProjectTechRequirements = {
초창패: {
기술수준: "TRL 6-7 (시제품 단계)",
핵심역량: ["빠른 프로토타이핑", "사용자 검증", "확장 설계"],
필수기술: ["웹/앱 개발", "클라우드", "데이터 분석"],
차별화: "시장 적합성 중심"
},
예창패: {
기술수준: "TRL 4-6 (기술 검증 단계)",
핵심역량: ["기술 검증", "PoC 개발", "IP 확보"],
필수기술: ["핵심 알고리즘", "시스템 설계", "성능 최적화"],
차별화: "기술적 우수성 중심"
},
TIPS: {
기술수준: "TRL 7-9 (상용화 단계)",
핵심역량: ["글로벌 품질", "확장성", "안정성"],
필수기술: ["엔터프라이즈급 개발", "국제 표준", "보안"],
차별화: "글로벌 경쟁력 중심"
},
RnD: {
기술수준: "TRL 3-7 (연구-상용화)",
핵심역량: ["혁신 기술", "성능 개선", "기술 이전"],
필수기술: ["첨단 기술", "성능 측정", "비교 분석"],
차별화: "기술 혁신성 중심"
}
}
3. 예산 관리 및 집행 능력
const budgetManagementCapability = {
// 정부 과제 예산 집행 특징
govBudgetRules: {
인건비: {
비율: "40-60%",
제약: "연구원별 단가 상한선 존재",
관리: "참여율 및 참여기간 명확히 관리"
},
직접비: {
구성: ["재료비", "장비사용료", "외주개발비", "여비"],
특징: "명확한 증빙과 목적 연관성 필요",
외주비: "총 사업비의 40% 이하"
},
간접비: {
비율: "직접비의 17-30%",
용도: "관리비, 일반관리비",
제약: "별도 증빙 불가, 정액 지급"
}
},
// 개발사가 갖춰야 할 능력
requiredCapabilities: [
"연구개발비 회계 시스템 운영",
"증빙서류 체계적 관리",
"월별/분기별 집행 현황 추적",
"정부 감사 대응 능력",
"비용 대비 성과 분석"
]
}
성공적인 외주 계약 체결 전략
1. 계약서 필수 조항
# 정부 과제 개발 외주 계약서 템플릿
## 1. 기본 사항
- 과제명: [정부 과제명과 일치]
- 계약 기간: [과제 수행 기간 내]
- 계약 금액: [정부 예산 범위 내]
- 지급 조건: [정부 지급 일정과 연동]
## 2. 개발 내용
### 2.1 개발 범위
- [ ] 핵심 기능 상세 명시
- [ ] 성능 목표 수치화
- [ ] 호환성 및 표준 준수
- [ ] 보안 요구사항
### 2.2 산출물
- [ ] 소스코드 (주석 포함)
- [ ] 기술 문서 (정부 양식)
- [ ] 테스트 결과서
- [ ] 사용자 매뉴얼
- [ ] 특허 및 SW 등록 지원
## 3. 지적재산권
### 3.1 소유권
- 소스코드: 발주사 소유
- 특허: 공동 출원 또는 발주사 단독
- 노하우: 협의 후 결정
### 3.2 기술보호
- 보안서약서 체결
- 기술유출 방지 조치
- 경쟁사 참여 제한
## 4. 성과 관리
### 4.1 중간 점검
- 월별 진도 보고
- 분기별 성과 점검
- 이슈 대응 프로세스
### 4.2 품질 보증
- 테스트 기준 및 방법
- 하자 보수 기간 (1년)
- 성능 미달 시 대응 방안
## 5. 위험 관리
### 5.1 일정 지연 대응
- 지연 사유별 대응 방안
- 인력 투입 증가 조치
- 대안 기술 적용 계획
### 5.2 예산 초과 방지
- 단계별 예산 통제
- 변경 사항 사전 승인
- 추가 비용 분담 원칙
2. 단계적 계약 구조
Phase Gate 계약 모델:
Phase 1: 기술 검증 (20% - 2,000만원)
├── 기간: 2개월
├── 목표: PoC 개발 및 기술 검증
├── 산출물: 프로토타입, 기술 분석서
└── 평가: 기술적 타당성, 성능 목표 달성도
Phase 2: 시스템 개발 (50% - 5,000만원)
├── 기간: 6개월
├── 목표: 핵심 시스템 개발
├── 산출물: 베타 버전, 테스트 결과
└── 평가: 기능 완성도, 품질 수준
Phase 3: 완성 및 최적화 (20% - 2,000만원)
├── 기간: 3개월
├── 목표: 상용화 수준 완성
├── 산출물: 최종 제품, 문서화
└── 평가: 성능 목표, 사업화 준비도
Phase 4: 사업화 지원 (10% - 1,000만원)
├── 기간: 1개월
├── 목표: 운영 안정화 및 기술 이전
├── 산출물: 운영 매뉴얼, 교육
└── 평가: 안정성, 유지보수 용이성
각 Phase 완료 후 다음 단계 진행 여부 결정
정부 평가 대응을 위한 성과 관리
1. 중간평가 준비
## 중간평가 대비 체크리스트
### 기술적 성과 (40%)
- [ ] 계획 대비 개발 진도율
- [ ] 핵심 기능 동작 시연
- [ ] 성능 목표 달성 현황
- [ ] 기술적 차별성 입증
- [ ] 특허 출원 현황
### 사업적 성과 (30%)
- [ ] 시장 검증 결과
- [ ] 고객 피드백 및 개선사항
- [ ] 사업화 계획 구체화
- [ ] 매출 발생 또는 투자 유치
- [ ] 파트너십 구축 현황
### 연구 관리 (20%)
- [ ] 예산 집행 현황 (적정성)
- [ ] 일정 관리 상태
- [ ] 연구진 참여도
- [ ] 연구 윤리 준수
- [ ] 보안 관리 실태
### 파급효과 (10%)
- [ ] 일자리 창출 실적
- [ ] 기술이전 및 확산
- [ ] 후속 연구 연계성
- [ ] 사회적 기여도
- [ ] 정책 기여도
2. 성과 데이터 관리 시스템
// 정부 과제 성과 추적 시스템
interface GovProjectMetrics {
// 기술적 성과
technical: {
developmentProgress: number; // 개발 진도율
performanceMetrics: {
speed: number;
accuracy: number;
efficiency: number;
};
ipAssets: {
patents: number;
swRegistrations: number;
papers: number;
};
};
// 사업적 성과
business: {
marketValidation: {
userFeedback: string[];
testUsers: number;
marketSize: number;
};
commercialization: {
revenue: number;
investment: number;
partnerships: string[];
};
};
// 관리 성과
management: {
budgetExecution: {
planned: number;
actual: number;
efficiency: number;
};
scheduleCompliance: {
milestones: number;
delays: number;
onTimeRate: number;
};
};
}
// 성과 대시보드 자동 생성
const generatePerformanceReport = (metrics: GovProjectMetrics) => {
return {
summary: `개발 진도 ${metrics.technical.developmentProgress}%, 예산 집행률 ${metrics.management.budgetExecution.efficiency}%`,
recommendations: analyzeMetrics(metrics),
nextActions: getNextActions(metrics)
};
};
실제 성공 사례 분석
사례 1: 초창패 AI 스타트업 "SmartDoc"
배경:
- 업종: AI 기반 문서 자동화 솔루션
- 지원: 초창패 1억원 (2년)
- 팀: CEO + 개발자 2명
개발 외주 전략:
1단계 (6개월): 핵심 AI 모델 개발
├── 외주사: AI/ML 전문 개발사
├── 계약: 3,000만원 (성과 연동)
├── 성과: OCR + NLP 엔진 완성
└── 특허: 2건 출원
2단계 (6개월): 서비스 플랫폼 개발
├── 외주사: 웹/앱 개발 전문사
├── 계약: 2,500만원 (단계별 지급)
├── 성과: SaaS 플랫폼 베타 출시
└── 고객: 파일럿 고객 50사 확보
3단계 (6개월): 사업화 및 확장
├── 외주사: 기존 파트너 연장
├── 계약: 1,500만원 (유지보수 포함)
├── 성과: 정식 출시, 월 매출 3,000만원
└── 투자: 시리즈A 5억원 유치
성공 요인:
✅ 정부 과제 경험 풍부한 외주사 선택
✅ 단계별 성과 기반 계약
✅ 지적재산권 사전 협의
✅ 사업화까지 고려한 개발
사례 2: TIPS 바이오헬스 스타트업 "HealthAI"
배경:
- 업종: AI 기반 의료 진단 솔루션
- 지원: TIPS 5억원 (3년)
- 팀: CTO + 바이오 전문가 3명
개발 외주 전략:
Year 1: 핵심 기술 개발
├── AI 모델: 1.5억원 (전문 AI 연구소)
├── 의료 시스템: 8,000만원 (헬스케어 IT 전문사)
├── 성과: 진단 정확도 95% 달성, 특허 5건
└── 인증: CE 마크 준비 완료
Year 2: 임상 검증 및 제품화
├── 임상 시스템: 1억원 (의료 IT 전문사)
├── 클라우드 인프라: 5,000만원 (클라우드 전문사)
├── 성과: 임상 시험 완료, FDA 승인 신청
└── 파트너: 대형 병원 3곳 MOU
Year 3: 글로벌 진출
├── 글로벌 플랫폼: 8,000만원 (다국어 전문사)
├── 보안 강화: 3,000만원 (보안 전문사)
├── 성과: 미국/유럽 시장 진출
└── 투자: 시리즈B 30억원 유치
핵심 성공 요인:
✅ 도메인별 전문 외주사 활용
✅ 국제 인증 대응 경험
✅ 의료 규제 이해도
✅ 글로벌 표준 준수
외주사 평가 및 선정 프로세스
1. RFP (제안요청서) 작성 가이드
# 정부 과제 개발 외주 RFP 템플릿
## 1. 과제 개요
### 1.1 과제 정보
- 과제명: [정부 과제명]
- 지원기관: [부처/기관명]
- 총 지원금: [금액]
- 수행기간: [기간]
### 1.2 기술 개발 목표
- 핵심 기술: [구체적 기술명]
- 성능 목표: [정량적 지표]
- 차별화 포인트: [기존 기술 대비 우수성]
- TRL 목표: [현재 → 목표 수준]
## 2. 개발 요구사항
### 2.1 기능 요구사항
- Must Have: [필수 기능 10개]
- Should Have: [권장 기능 5개]
- Could Have: [선택 기능 3개]
### 2.2 비기능 요구사항
- 성능: [응답시간, 처리량, 정확도]
- 보안: [인증, 암호화, 접근제어]
- 호환성: [OS, 브라우저, 디바이스]
- 확장성: [사용자 증가 대응]
## 3. 제안 요청 사항
### 3.1 기술 제안
- [ ] 아키텍처 설계서
- [ ] 핵심 알고리즘 접근법
- [ ] 성능 최적화 방안
- [ ] 보안 구현 계획
- [ ] 테스트 전략
### 3.2 관리 제안
- [ ]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
- [ ] 품질 보증 체계
- [ ] 리스크 관리 계획
- [ ] 의사소통 체계
- [ ] 성과 측정 방법
### 3.3 사업화 지원
- [ ] 기술이전 계획
- [ ] 특허 지원 방안
- [ ] 마케팅 지원 가능성
- [ ] 후속 개발 지원
- [ ] 글로벌 진출 지원
## 4. 평가 기준 (100점)
### 4.1 기술 역량 (40점)
- 유사 프로젝트 경험: 15점
- 기술진 전문성: 15점
- 기술 접근법 우수성: 10점
### 4.2 사업 수행 능력 (30점)
- 정부 과제 수행 실적: 15점
- 프로젝트 관리 능력: 10점
- 일정/예산 준수 이력: 5점
### 4.3 제안 내용 (20점)
- 기술 제안서 완성도: 10점
- 창의성 및 혁신성: 5점
- 사업화 연계성: 5점
### 4.4 가격 경쟁력 (10점)
- 적정 가격 책정: 5점
- 비용 대비 효과: 5점
2. 다단계 평가 프로세스
1차: 서류 평가 (70점 이상 통과)
├── 기본 자격 요건 검토
├── 제안서 내용 평가
├── 유사 프로젝트 실적 검증
└── 5-7개사 후보 선정
2차: 기술 프레젠테이션 (80점 이상 통과)
├── 핵심 기술 시연
├── 질의응답 (30분)
├── 기술진 역량 평가
└── 3-4개사 최종 후보
3차: 심층 인터뷰 (최종 선정)
├── 프로젝트 수행 계획 검토
├── 리스크 대응 방안 논의
├── 계약 조건 협의
└── 1개사 최종 선정
Due Diligence:
├── 재무 건전성 확인
├── 기술진 경력 검증
├── 레퍼런스 확인
└── 법적 이슈 점검
위험 관리 및 대응 전략
1. 주요 위험 요소와 대응방안
const riskManagement = {
기술위험: {
위험요소: [
"핵심 기술 개발 실패",
"성능 목표 미달성",
"기술적 병목 발생",
"호환성 문제"
],
대응방안: [
"단계별 기술 검증",
"대안 기술 사전 준비",
"외부 전문가 자문",
"프로토타입 조기 검증"
],
모니터링: "주간 기술 리뷰 회의"
},
일정위험: {
위험요소: [
"개발 일정 지연",
"외주사 리소스 부족",
"요구사항 변경",
"통합 테스트 지연"
],
대응방안: [
"여유 일정 10% 확보",
"백업 개발사 사전 확보",
"변경 관리 프로세스 확립",
"지속적 통합 체계"
],
모니터링: "일일 진도 체크"
},
예산위험: {
위험요소: [
"개발 비용 초과",
"추가 기능 요구",
"하드웨어 비용 상승",
"인건비 인상"
],
대응방안: [
"예비비 5% 확보",
"고정가 계약 체결",
"단계별 예산 통제",
"비용 모니터링 시스템"
],
모니터링: "월별 예산 리뷰"
},
품질위험: {
위험요소: [
"품질 기준 미달",
"보안 취약점 발생",
"사용성 문제",
"성능 이슈"
],
대응방안: [
"품질 체크포인트 설정",
"보안 검토 의무화",
"사용자 테스트 반복",
"성능 모니터링 상시"
],
모니터링: "품질 게이트 통과 여부"
}
}
2. 비상 계획 (Contingency Plan)
## 시나리오별 비상 계획
### 시나리오 1: 핵심 기술 개발 실패
상황: 프로젝트 50% 지점에서 핵심 알고리즘 성능 미달
대응 계획:
1. 즉시 대응 (1주):
- 기술자문단 긴급 소집
- 대안 기술 검토
- 외부 전문기관 자문 요청
2. 단기 대응 (1개월):
- 대안 기술로 방향 전환
- 목표 성능 수정 협의
- 추가 예산 확보 방안 모색
3. 장기 대응 (3개월):
- 새로운 접근법으로 재개발
- 일정 재조정
- 지원기관과 협의
### 시나리오 2: 외주사 계약 해지
상황: 외주사의 사정으로 계약 중단
대응 계획:
1. 즉시 대응 (3일):
- 백업 외주사 접촉
- 개발 자산 확보
- 법적 검토 진행
2. 단기 대응 (2주):
- 새로운 외주사와 계약
- 기존 개발 내용 인수인계
- 일정 재수립
3. 장기 대응 (1개월):
- 개발 연속성 확보
- 품질 수준 유지
- 추가 비용 최소화
### 시나리오 3: 정부 정책 변경
상황: 지원 정책 변경으로 예산 삭감
대응 계획:
1. 즉시 대응 (1일):
- 지원기관 담당자 접촉
- 변경 내용 정확한 파악
- 법무팀 검토 요청
2. 단기 대응 (1주):
- 개발 범위 조정 협의
- 예산 재배분 계획 수립
- 민간 투자 유치 검토
3. 장기 대응 (1개월):
- 축소된 목표로 재설계
- 핵심 기능 우선 개발
- 후속 지원 방안 모색
체크리스트: 정부 과제 외주 성공 가이드
사전 준비 단계
- [ ] 과제 특성 및 평가 기준 완전 이해
- [ ] 개발 요구사항 구체적 정의
- [ ] 예산 배분 계획 수립
- [ ] 지적재산권 전략 수립
- [ ] 성과 관리 체계 설계
외주사 선정 단계
- [ ] 정부 과제 수행 경험 확인
- [ ] 기술 역량 및 전문성 검증
- [ ] 예산 관리 능력 평가
- [ ] 레퍼런스 및 평판 조사
- [ ] 계약 조건 협상 및 확정
프로젝트 수행 단계
- [ ] 정기적 진도 점검 (주간/월간)
- [ ] 품질 게이트 통과 확인
- [ ] 예산 집행 현황 모니터링
- [ ] 리스크 대응 상황 점검
- [ ] 성과 데이터 지속 수집
완료 및 사후 관리
- [ ] 최종 산출물 검수 완료
- [ ] 기술 이전 및 문서화
- [ ] 평가 대응 준비 완료
- [ ] 사업화 연계 계획 수립
- [ ] 후속 과제 기획 고려
결론: 정부 지원사업 성공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정부 지원사업의 성공은 올바른 개발 파트너 선택에서 시작됩니다"
정부 지원사업은 단순한 개발 프로젝트가 아닙니다. 엄격한 규정과 높은 성과 기준을 만족시키면서도 실질적인 사업 성과를 창출해야 하는 복합적 과제입니다.
성공하는 정부 과제의 공통점:
- 전문성: 정부 과제 특성을 완전히 이해하는 파트너
- 체계성: 문서화와 성과 관리가 체계적인 개발 프로세스
- 유연성: 변화하는 요구사항과 평가 기준에 빠른 대응
- 연속성: 개발 완료 후 사업화까지 지속적 지원
마지막 조언:
정부 지원사업은 스타트업에게 절호의 기회입니다. 하지만 이 기회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개발 파트너가 필수입니다.
저렴한 비용보다는 성공 확률을 높이는 파트너를 선택하세요. 여러분의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성공적인 사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도와줄 진정한 파트너를 찾으시기 바랍니다.
인테그래빗 정부 지원사업 전문 개발 서비스
인테그래빗은 초창패, 예창패, 정부 R&D 과제 등 다양한 정부 지원사업 선정 및 수행 경험을 바탕으로, 정부 지원사업 선정사의 성공적인 과제 완료를 전문적으로 지원합니다.
- 풍부한 수행 경험: 초창패, 예창패, 정부 R&D 등 다양한 정부 지원사업 선정/수행 실적
- 검증된 성과: 정부 과제 성공적 완료 및 우수한 평가 결과 달성
- 전문적 문서화: 정부 평가 기준과 요구사항에 완벽 대응하는 기술문서 작성 역량
- 체계적 프로세스: 규정 준수부터 성과 달성까지 검증된 개발 프로세스
[정부 지원사업 수행 실적 보기] [무료 과제 분석 상담]